CS (4) 썸네일형 리스트형 (WEB) 웹 서비스 구조 이해 2편, 웹의 발전과 다양한 기술의 등장 이번 포스팅은 웹의 발전과정에 관한 포스팅이다. 1편은 웹의 탄생과 초기 구조에 관한 포스팅이며, 하단 링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WEB) 웹 서비스 구조 이해 1편, 웹의 탄생과 초창기 웹의 구조프론트엔드를 지망하는 주니어 개발자로서 웹의 단편적인 지식만을 공부하다 보니 오히려 이해가 떨어지는 것을 느꼈다. 웹이 왜 생겼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발전했고,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lemu-devblog.tistory.com 발전하는 웹모든 기술은 발전을 하면서 3가지로 나뉘게 된다. 초반에는 이 3가지가 결합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지만 결국 유지보수를 위해 3가지로 분리된다. 이 세 요소는 아래와 같다. 1. 자료구조(data) : 데이터2. 제어(logic) :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 (WEB) 웹 서비스 구조 이해 1편, 웹의 탄생과 초창기 웹의 구조 프론트엔드를 지망하는 주니어 개발자로서 웹의 단편적인 지식만을 공부하다 보니 오히려 이해가 떨어지는 것을 느꼈다. 웹이 왜 생겼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발전했고,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 또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어떤 기술이 생겨났는지 궁금해 공부를 하다가 좋은 영상을 발견해 이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번 포스팅은 초창기 웹의 구조를 정리하고자 하며, 참고한 영상은 포스팅 하단에 추가하였다. 웹의 탄생웹은 유럽 입자 물리학 연구소(CERN)에서 연구하던 팀 버너스 리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 당시 인터넷에서는 대부분 텍스트 기반 문서가 사용되었기에 정보를 찾아보는데 불편함이 컸다. 버너스 리는 텍스트 내에 링크가 있어서 연관된 정보를 서로 묶을 수 있다면, 정보를 찾기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생각했.. (CS) 터미널, 콘솔 기본 명령어 & 옵션 콘솔, 터미널 명령어는 파일 관리 및 정보 확인을 위해 많이 쓰이는 명령어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 명령어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cd (change directory)현재 디렉토리를 변경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cd.. 을 사용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은 상위 디렉토리를 나타낸다)사용법 : cd [이동할 경로] cd Documentscd Documents/newProjectcd .. ls (list)현재 디렉토리에 포함된 내용을 나열하는 명령어옵션, 경로를 제외하고 'ls'만 사용하는 경우 현재 디렉토리 내용을 보여준다.사용법 : ls [옵션] [경로] 옵션 종류 -a : 숨긴 파일들도 모두 보여준다.-l : 상세 정보도 모두 보여준다.-h :.. (CS) XML, JSON이란? 역직렬화와 직렬화 XML과 JSON은 둘 다 데이터 교환 형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데이터 교환 형식이라는 것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형식이라는 뜻이다. 데이터 교환 형식은 api 반환 형태나 시스템 구축 설정파일 등에 사용된다. 이런 데이터 교환 형식은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지 않아 독립적이며,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JSON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이다. 즉 자바스크립트 객체 문법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형식이다. 즉 JSON은 보통 아래와 같은 형태로 key & value로 구성된다.{"key" : "value"}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와 JSON의 차이점이 있다면, 바로 undefinted와 메서드가 포함될 수 없다는 것이다. undefined와 메서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