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DEV BLOG
검색하기

블로그 홈

DEV BLOG

lemu-devblog.tistory.com/m

Znero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Typescript) 제너릭 generic이란? 사용 방법 제너릭이란?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input 타입에 따라 return 타입을 제어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 any 타입을 사용하면 자유롭게 입력 타입과 반환 타입을 설정할 수 있지만, 타입 안정성이 떨어져서 연결이 끊어진다. 그렇다고 타입이 다른 함수를 각각 정의하려니 코드가 반복되어 비효율적이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제너릭(generic)이다. 제너릭은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타입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타입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기능이다. 제너릭(generic)을 사용하면 반복되는 코드를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같은 기능에 타입만 다른 함수들을 반복적으로 선언해야한다.function returnNumber(item: number): n..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23.
  • (Typescript) 타입 선언 방법 3탄, 클래스 타입 선언 방법 이전 포스팅으로 객체와 변수, 함수 등의 타입 선언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래스의 타입을 선언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타입스크립트의 클래스 선언 방법은 자바스크립트와 유사하지만,  접근 제어자, getter/setter, 인터페이스, abstract 클래스 등 타입스크립트만의 고유 기능이 있으며 이 기능들을 활용하면 좀 더 명확하고 안정성이 높은 코드를 짤 수 있다.    1.  클래스의 타입 선언 방법 / constructor 단축구문클래스의 타입을 설정하는 타입스크립트의 기본 문법은 아래와 같다. 자바스크립트의 클래스 선언과 동일하게 필드 선언과 초기화(constructor)가 들어가 있고, 여기에 타입이 추가된다.class User { name: string; a..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22.
  • (Typescript) 유니온 타입(|)과 인터섹션 타입(&)이란? 사용법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타입스크립트에서 사용되는 유니온 타입(|)과 인터섹션 타입(&)을 다룬다.  생김새는 기존 자바스크립트의 논리연산자(||, &&)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사용법은 전혀 다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타입스크립트에서 해당 타입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유니온 타입 (Union Type, |)유니온 타입은 여러 타입 중 하나의 타입을 가지는 타입을 정의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해당 타입이 문자열 또는 숫자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면 string | number 이런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let score: number | string;score = 98;score = "100"; 배열도 유니온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배열은 괄호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21.
  • (Typescript) 타입 선언 방법 정리 2편, 인터페이스란? 타입 별칭과의 차이 이전 포스팅에서 다양한 타입 선언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했다. 그중에서 타입 별칭이라는 선언 방법이 있었는데, 이 타입 별칭이라는 선언 방법이 인터페이스 선언 방법과 상당히 유사하다.  인터페이스와 타입별칭은 사용 방법도, 생김새도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둘의 차이점을 정리한다.  먼저 타입 별칭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하단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타입 선언 방법 정리 1편타입스크립트에서는 타입을 선언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다. 워낙 다양하다 보니 타입을 선언하는 방법이 헷갈리기에 해당 포스팅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기본 타입 정의자바스크립트의lemu-devblog.tistory.com   1. 인터페이스는 객체 타입만 정의할 수 있..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20.
  •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타입 선언 방법 정리 1편 타입스크립트에서는 타입을 선언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다. 워낙 다양하다 보니 타입을 선언하는 방법이 헷갈리기에 해당 포스팅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기본 타입 정의자바스크립트의 선언문과 비슷하지만, : 옆에 타입을 선언한다. 타입스크립트는 옆에 할당되는 값을 보고 자동으로 타입을 추론할 수 있기에 붙이지 않아도 된다, 다만 배열에 타입을 선언할 때, 빈 배열인 경우 타입을 추론할 수 없으므로 기본 타입 정의를 해 주면 좋다. let name : string = "Lemu";let age : number = "27";//배열let fruit : string[] = ["apple", "banana"];let num : number[] = [];   타입 별칭 (Type alies)위에 기본 타입 선언처럼 ..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6. 6.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